[국민의소리 박주연기자] 주요 금융그룹들이 지난해 5조원 안팎의 순이익을 내며 사상 최대 실적 기록을 세웠다. 지난해 하반기 부동산 영끌 등으로 가계 대출 자체가 늘어난 영향에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의 이자 이익은 약 42조원까지 불어났다. 금융지주들은 대규모 주주환원 정책을 예고하고 있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금융의 지난해 순이익은 총 16조4205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14조8908억원보다 10.3% 불어난 규모다.
특히 KB금융지주는 지난해 5조원이 넘는 순이익을 냈다. 처음으로 '5조 클럽'에 입성한 동시에 금융지주 1위 자리를 지켰다.
KB금융지주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지배기업 지분 순이익 기준)은 5조782억원이다. 전년 4조5948억원보다 10.5% 늘었으며 연간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이다.
신한금융지주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4조5175억원이다.
전년 4조3680억원보다 3.4% 증가했지만, 역대 최대 실적을 냈던 2022년 4조6423억원에는 못 미쳤다. 하지만 당시 신한투자증권 사옥 매각에 따른 일회성 이익 약 3220억원이 포함된 점 등을 고려하면 사실상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는 평가다.
하나금융지주도 최대 실적을 거뒀다. 하나금융의 지난해 순이익은 3조7388억원으로, 전년 3조4217억원보다 9.3% 늘었다.
우리금융지주도 실적이 대폭 개선돼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지난해 순이익이 3조860억원으로, 전년 2조5063억원보다 23.1% 늘었다. 2022년 3조1471억원에 이어 역대 두 번째 순이익을 냈다.
금융권의 이 같은 역대급 실적은 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와 예대 금리차 확대에 따라 이자 이익이 불어난 영향이 컸다.
나상록 KB금융지주 최고재무책임자는 컨퍼런스콜에서 “기준금리 인하와 부동산 시장 거래량 증가에 따라 실수요자를 중심으로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이 증가한 영향”이라고 말했다.
4대 금융의 지난해 이자 이익은 41조8760억원으로 전년 40조6212억원보다 3.1% 증가했다.
금융지주별로 보면 KB금융이 12조8267억원로 5.3%, 신한금융이 11조4023억원로 5.4% 불어났고, 우리금융도 8조8860억원으로 1.6% 늘었다. 하나금융은 8조7610억원으로 1.3% 줄었다.
보통 금리 하락기에는 대출금리가 예금금리보다 빨리 내리면서 예대차익(대출금리-예금금리)이 줄어들기 때문에 은행 수익성이 나빠진다.
실제로 KB금융(2.08%→1.98%), 신한금융(1.97%→1.86%), 하나금융(1.76%→1.69%), 우리금융(1.72%→1.66%) 모두 지난해 말 순이자마진(NIM)이 1년 전보다 하락했다.
하지만 수익성 지표 악화에도 대출 자산 자체가 증가하면서 이자 이익도 늘었다.
업계 관계자는 “연간 기준 순이자마진이 하락했지만 수도권을 중심으로 집값이 뛰며 매매가 늘어나자 주택담보대출 등 은행권 가계대출이 급증했고 기업 대출 수요도 꾸준했다”고 설명했다.
KB국민은행의 원화 대출금은 1년 새 6.4% 증가했다. 신한은행은 10.3%, 하나은행 4.0%, 우리은행도 6.3%씩 늘었다.
#국민의소리TV #국민비즈TV #한국크리에이터협동조합 #한국신문방송인협회 #경기포털
#하나금융 #증권사 #신입공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