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소리 박주연기자] 정부는 올해 10곳 이내 지역을 스마트도시 조성 대상지로 선정하고 사업유형에 따라 최대 160억 원 등 국비를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국토교통부는 17일부터 '2025년 스마트도시 조성·확산사업' 공모에 들어간다.
국토부는 인공지능 등 스마트 기술을 도시에 접목해 다양한 도시문제 해결과 스마트도시산업 활성화를 위해 지방자치단체와 기업 등이 협력해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올해는 거점형 스마트도시 조성사업, 강소형 스마트도시 조성사업, 스마트도시 솔루션 확산사업, 스마트도시 특화단지 조성사업 등 총 4가지 사업유형으로 구분해 이를 추진할 지방자치단체를 공모한다.
이 중 올해 처음 공모하는 '스마트도시 특화단지 조성사업'으로 스마트도시산업 육성 여건에 적합한 지역을 선정해 관계부처 등과 함께 혁신기업이 모여 스마트서비스를 개발·실증하는 선도지역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이 사업은 스마트 거점 기능을 할 수 있는 스마트서비스 종합 도시를 조성해 스마트도시가 전국에 확산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지역 및 산업을 지원하는 스마트 인프라를 구축하고, 스마트도시 확산 거점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스마트도시 관련 혁신적인 도시서비스 발굴·실증을 지원한다.
한편 올해는 스마트 거점 역할이 가능한 도시(특별·광역시, 특별자치시·도, 시·군) 1곳을 선정하는데, 선정한 지자체에는 3년 동안 국비 최대 160억 원을 지원(국비와 지방비 1:1 매칭)한다.
중·소도시가 기후위기, 지역소멸 등 도시환경 변화에 대응력을 확보해 지속가능하고 경쟁력을 갖춘 도시로 성장할 수 있도록 특화 솔루션이 집중된 도시 3곳을 선정해 조성한다.
이에 친환경·탄소중립, 기후재해-zero 융·복합 특화도시를 만드는 '기후위기 대응형'과 저출산·고령화 등 인구변화 대응과 지역산업 활력 지원 융·복합 특화도시인 '지역소멸 대응형' 등 2개 세부 유형 중 1개를 선택해 신청할 수 있다.
특히 선정된 지자체에는 3년 동안 국비 최대 80억 원을 지원(국비와 지방비 1:1 매칭)하는 바, 인구 100만 명 이하 도시(특별자치시·도, 시·군·구)를 대상으로 한다.
#국민의소리TV #국민비즈TV #한국크리에이터협동조합 #한국신문방송인협회 #경기포털
#스마트도시 #확산사업 #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