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소리 박주연기자] 소비 침체와 경쟁 심화 등으로 수익성이 크게 떨어진 유통업계가 비용 절감 노력의 하나로 임원 수와 관련 비용을 적잖게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마트·신세계·롯데쇼핑 등 유통 대기업 3사의 미등기임원 21명이 지난해 짐을 쌌다. 이마트와 롯데쇼핑 직원 2천309명도 회사를 떠났다.
불황이 깊어지면서 임원들의 실적이나 성과에 민감해진 분위기도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23일 주요 유통사 사업보고서 등을 종합하면 이마트(이마트에브리데이 포함)는 지난해 말 기준 미등기 임원 수가 32명으로 전년(42명)에 비해 10명(23.8%) 줄었다.
이에 따라 이마트의 미등기임원 연간 급여총액도 283억3천900만원에서 220억300만원으로 22.4% 감소했다.
특히 미등기임원 1인당 평균 급여는 6억7천500만원에서 5억9천800만원으로 11.4% 삭감됐다.
신세계 미등기임원도 43명에서 38명으로 5명(11.6%) 줄었고 미등기임원 연간 급여총액도 297억2천만원에서 253억3천900만원으로 14.7% 감소했다.
롯데쇼핑도 미등기임원 수를 81명에서 75명으로 6명(7.4%) 줄였다. 다만, 미등기임원의 연간 급여총액은 273억4천900만원에서 278억800만원으로 소폭 늘었다. 이는 퇴직 임원의 퇴직금과 함께 2023년 호실적에 따른 성과급이 반영됐기 때문이라고 롯데쇼핑은 설명했다.
현대백화점그룹은 미등기임원 수는 37명으로 같았지만, 연간 급여총액은 169억2천만원에서 145억4천800만원으로 14.0% 준 것으로 나타났다.
오프라인 사업 비중이 큰 주요 유통 대기업들이 미등기임원 수를 줄이거나 급여를 삭감한 것은 업황 부진과 관계가 깊다.
내수 침체 장기화, 온라인 유통시장의 급성장 등으로 실적이 내리막길을 걸으면서 인건비를 축소하거나 성과가 부진한 임원들이 대거 짐을 싼 탓이다.
이는 그리 밝지 않은 성장 전망 속에 수익 개선에 몰두하는 기업의 비용 절감 노력과도 연결된다.
한 유통업체 관계자는 "당장 수익 개선이 절실한 기업들이 성과에 민감해지면서 임원들의 근속연수도 짧아지는 추세"라고 말했다.
#국민의소리TV #국민비즈TV #한국크리에이터협동조합 #한국신문방송인협회 #경기포털
#불황 #대기업 #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