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소리 박주연기자] 직장인 송모(55)씨는 통장 잔고를 볼 때 마다 한 숨이 절로 나온다. 올해로 직장생활 25년차인데 딸 혼수도 제대로 못해줄 형편이기 때문이다. 송 씨는 경기도의 한 지방 공무원이다. 송씨는 “나름 중산층이라고 생각하는데 각종 세금과 학원비, 관리비, 보험료, 경조사비 등을 내고 나면 통장에 몇 십 만원 남는다”며 “목돈 마련이 쉽지않으니 노후 대책은 꿈도 못꾼다"고 하소연했다. 그러면서 "월급은 제자리걸음인데 물가 오름세는 가팔라 가족들과 외식 한 번 하는 것도 부담스럽다”고 했다.
중산층으로 분류되는 소득 상위 40∼60% 가구의 여윳돈이 70만원을 밑돌고 있다. 가구 소득은 늘었지만 부동산 구입에 따른 취·등록세, 이자·교육비 등이 큰 폭으로 늘어난 영향이다. 이른바 부동산 포모(FOMO·나만 뒤처지고 있다는 공포) 심리, 사교육비 부담 등에 짓눌린 대한민국 중산층의 현실이 반영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24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작년 4분기 소득 3분위(상위 40∼60%) 가구 흑자액(실질)은 1년 전보다 8만8000원 줄어든 65만8000원으로 집계됐다.
2019년 4분기(65만3000원) 이후 5년 만에 가장 적은 수준이다. 70만원을 밑돈 것도 5년 만에 처음이다.
흑자액은 소득에서 이자·세금 등 비소비지출과 의식주 비용 등 소비지출을 뺀 금액으로 가계 여윳돈에 해당한다.
3분위 가구 흑자액은 4년 전 만해도 90만원을 넘어으나 코로나19 사태가 끝난 후 가파르게 줄고 있다. 2022년 3분기 이래로 2023년 2분기와 2024년 1분기를 제외한 8개 분기에 모두 감소했다. 특히 작년 2분기부터는 3개 분기 내내 줄며 감소폭도 커졌다.
흑자액이 최근 3개 분기째 감소한 것은 3분위가 유일하다.
#국민의소리TV #국민비즈TV #한국크리에이터협동조합 #한국신문방송인협회 #경기포털
#중산층 #소득 #흑자